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북한, 러시아에 1만2000명 파병… 특수부대 1500명 1차 이동했다

by anyews 2024. 10. 19.
반응형

지난 9월 11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한군 특수부대를 시찰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북한 특수부대 병력이 지난 8일부터 러시아 파병을 위해 이동을 시작했다고 국가정보원이 18일 밝혔습니다. 그간 해외 언론 등이 제기한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설을 국정원이 공식 확인한 것입니다.

 

국정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지난 8일부터 13일까지 러시아 해군 수송함을 통해 북한 특수부대를 러시아 지역으로 수송하는 것을 포착, 북한군의 참전 개시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군을 실어 나른 배는 러시아 태평양 함대 소속 상륙함 4척과 호위함 3척입니다. 이 배들은 지난 8~13일 동안 북한 청진·함흥·무수단 인근 지역에서 북한 특수부대 1500여명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1차 이송했다고 합니다.

 

국정원은 조만간 북한군 특수부대의 2차 수송 작전이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정원 관계자는 “이번에 1차 수송된 1500명 이외에 앞으로 1만여명이 추가로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총 1만2000명 가량의 특수부대가 러시아 전선에 투입되는 셈”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 병력을 수송하는 러시아 함정의 활동 모습. [국가정보원 제공]

러시아의 해군 함대가 북한 해역에 진입한 것은 1990년 이후 처음이라고 국정원은 설명했습니다. 또 러시아의 안토노프 AN-124 등 대형 수송기도 블라디보스토크와 평양을 수시로 오가고 있다고 국정원은 밝혔습니다.

 

러시아에 간 북한군은 블라디보스토크·우수리스크·하바롭스크·블라고베션스크 등에 분산돼 러시아 군부대에 주둔하고 있습니다. 현지 적응훈련을 마치는대로 전선에 투입될 것으로 국정원은 내다보았습니다.

 

지난 16일 러시아 우수리스크의 군사시설사진. 연병장 내 400여명의 인원이 운집해 있다. [국가정보원 제공]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군은 러시아군으로 위장했다고 합니다. 북한군은 러시아 군복과 러시아제 무기를 지급 받았으며, 북한인과 유사한 외모를 가진 시베리아 야쿠티야·부라티야 지역 주민의 위조 신분증도 발급받았다고 합니다. 국정원은 “전장 투입 사실을 숨기기 위해 러시아군으로 위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국정원은 북한이 지난 8월 이후 현재까지 1만3000여개 이상 컨테이너 분량의 포탄·미사일·대전차 로켓을 러시아에 지원했다고 판단했습니다. 우크라이나 국방정보총국이 전장에서 수거한 북한제 무기를 확인한 결과, 북한이 러시아에 제공한 무기는 22mm·152mm 포탄, 대전차 미사일 ‘불새-4’, KN-23 미사일(북한판 이스칸데르), RPG 대전차로켓 등이었습니다.

 

국정원은 또 지난 8월초 김정식 군수공업부 제1부부장이 수십 명의 북한군 장교와 함께 전선 인근의 KN-23 미사일 발사장을 방문해 현지 지도하는 정황을 포착했다고 했다고 합니다.

 

북한이 러시아 지원을 위해 병력을 파견했다고 한국 정보 당국이 확인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사실일 경우 우크라이나 전쟁 양상을 바꿀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고 전망하였으며,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이 국제 정세뿐 아니라 한반도와 역내 안보에도 중대한 위협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보고있습니다.

 

한국 정보 당국이 북한군 파병을 확인하고 관련 대응 회의를 개최한 만큼 우크라이나에 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 검토에 곧 착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현황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