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2의 카톡' 나온다…카카오, 새로운 도전

by anyews 2024. 10. 23.
반응형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22일 열린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 카카오’에서 새로운 인공지능(AI) 브랜드이자 서비스인 ‘카나나’를 소개하고 있다. [카카오]

 

카카오가 내년 상반기에 인공지능(AI) 메신저 ‘카나나’를 선보입니다. 그룹 대화의 맥락을 이해하는 AI가 개인 비서 역할을 하는 서비스다. ‘AI 카카오톡’으로 메신저 시장을 넓히는 게 카카오의 목표입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22일 경기 용인시 카카오 AI캠퍼스에서 열린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 카카오’에서 새로운 AI 브랜드이자 서비스인 카나나를 공개했습니다. 올해는 사내 테스트만 진행하고 정식 출시는 내년에 한다고 합니다. 카카오톡과 통합하지 않고 별도의 서비스로 운영한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입니다. 정 대표는 “기존 AI 서비스와 다른 새로운 도전을 하려고 한다”며 “AI 친구와 함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습니다. 

 

카나나는 메신저 속 대화에서 주요 정보를 기억했다가 이용자에게 최적의 답변을 제시합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AI 서비스가 이용자와의 1 대 1 문답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대조적입니다. 대화방에서 회의 날짜나 장소 등과 관련한 대화가 오갔다면 AI 비서가 당일 아침 ‘오늘 오후 5시 회사 13층 회의실에서 열리는 회의에 참석해야 해요’라고 알려주는 식입니다.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으로 답변해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정 대표는 카나나를 생성형 AI 시대에 쉽고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대중 서비스로 키우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카카오가 굵직한 신사업을 발표한 것은 지난해 10월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의혹으로 경영 위기에 빠진 지 1년여 만입니다. 이 회사는 올해 5~6월 AI 신사업 관련 조직을 재정비하고 카나나 서비스를 준비해 왔습니다.

 

 

목록에서 ‘나나’와의 대화방을 고릅니다. ‘오늘 일정 얘기해 줘’라고 입력하면 “정오에 서울 광화문 A식당에서 점심 약속이 있고, 오후 5시에는 회사 사무실에서 회의합니다. 회의 때 설문조사 취합본을 들고 가야 해요”라는 답변이 나온다고 합니다. 카카오가 내년 상반기 출시할 인공지능(AI) 활용 메신저 서비스 ‘카나나’에서 누릴 수 있는 기능입니다.

 

카카오는 22일 카나나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AI 사업 전략을 공개했는데요. 단순히 서비스에 AI 기능을 추가하는 것을 넘어 AI를 중심에 둔 ‘AI 네이티브 기업’이 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카카오가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AI 서비스를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카나나 서비스는 카카오톡과는 별개의 새로운 메신저 앱 카나나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처럼 휴대폰에 저장된 연락처를 기반으로 친구 목록이 생성되고, 그들과 대화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AI 메이트 ‘나나’(오른쪽)와 ‘카나’(왼쪽)가 작동하는 게 특징입니다.

AI 메이트는 카나나 내에서 이뤄진 모든 대화를 기억하고 맥락을 파악합니다. 개인 메이트 나나는 1 대 1 대화로 만날 수 있는 개인 비서입니다. 그날그날 중요 일정과 준비물, 과제 등을 대화창에서 알려줍니다. 그룹 메이트 카나는 여러 명이 모인 단체 대화방에서 활약하는 간사입니다. 스터디 모임방에서 함께 읽은 논문과 관련 퀴즈를 요청하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카나나에서 이뤄지는 모든 대화는 상대방의 수락이 필요합니다. 친구 목록에 있더라도 대화를 시작하려면 ‘대화 요청’을 발송하고, 상대방이 수락해야 합니다. 단체 대화 역시 상대방이 초대에 응해야 할 수 있습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이날 AI 네이티브 기업이 되겠다는 목표를 거듭 강조했습니다. 정 대표는 “올해 카카오를 이끌면서 가장 큰 화두인 AI를 마주했고, 일반 이용자에게 어떻게 접근할지 많이 고민했다”며 “생성형 AI로 카카오만의 유일무이한 핵심 경쟁력인 ‘관계와 관계를 통한 연결’의 방식과 대상을 확대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카나나는 ‘가장 나다운 AI’라는 의미입니다. 사명인 카카오(kakao)에 ‘나에게 배워 나처럼 생각하고 행동한다’는 의미의 네이티브(native), ‘배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라는 뜻의 내추럴(natural)을 조합했습니다. AI 전담 조직명을 비롯해 카카오가 개발하는 주요 AI 모델, 신규 서비스 등의 브랜드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반응형